책소개
“소설은 좋아해도 이야기가 없는 설명문은 읽기 싫어요!” “독해력? 이과생한테는 관계없는 이야기 아닌가요?” “인공지능이 다 읽어 주지 않을까요?” “책 내용을 요약해주는 유튜브만 있으면 되잖아요!?” “대학에 안 갈 건데 독해력을 길러야 할까요?” AI시대에 굳이 글 읽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아이들과 어떻게 대화를 시작하면 좋을까? 이 책은 인지심리학의 관점에서 읽기를 연구하는 대학교수가, 평범한 중학생 3명이 독해에 관해 궁금해하는 거의 모든 것에 친절하게 답을 하는 형식의 책이다. 특히 AI 시대에도 여전히 독해력이 중요한 이유, 다양한 독해 방식, 기억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 독해에서 중요한 어휘 지식, 기억력과 독해력을 향상하는 전략, 비판적 독해 방법, 메타인지를 읽기에 적용하는 방법, 읽기 과정에서 주관과 선입관이 하는 역할 등 독해력에 관한 거의 모든 이슈를 군더더기 없이 아주 명쾌하게 설명한다. 교과 공부가 중요한 중고등학생부터 자녀의 독해력 향상에 관심 있는 학부모, 독해력을 기르고 싶은 성인까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저자소개
도쿄 가쿠게이(東慶?芸) 대학 교육학부 교육심리학강좌 준교수. 도쿄 대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 교육학 박사. 독해를 중심으로 학교나 일상적인 상황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는’ 심리 과정과 교육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인지심리학의 관점ㅡ뇌 작동의 과학(認知心理?の視点―頭の?きの科?)』, 『논리적 읽기의 이론과 실천ㅡ지식 기반 사회를 살아가는 힘을 기르기 위하여(論理的?み書きの理論と??: 知識基盤社?を生きる力の育成に向けて)』 등이 있다.
목차
시작하면서 PART 1 · ‘읽기’란 무엇인가?제1장 독해력이 꼭 필요할까? ‘책’ ‘글’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독해력이 꼭 필요할까? 제2장 왜 읽지 못할까? 글자를 글자로 읽기 어려운 증상 글자를 읽을 수 있으면 내용도 이해할까? 그래도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 있다 - 보텀업과 톱다운 독해 제3장 암기와 이해는 어떻게 다를까? 인간의 지식이란 무엇인가? 기억의 구조 1 - 이중저장 모델 기억의 구조 2 - ‘묶어서 생각하라!’ 기억의 구조 3 - ‘연결하라!’ 기억과 독해력 - 어휘 지식의 두 가지 중요성 제4장 왜 잊어버릴까? 잊어버리는 이유 1 - 전송 실패 잊어버리는 이유 2 - 연결 실패 잊어버리는 이유 3 - 다시 만들기 잊어버리지 않는 방법 PART 2 · 독해력을 높이자제5장 독해력을 향상하려면 ‘책을 많이 읽어야’ 할까? 독서가 독해력을 향상할까? 읽고 이해하기 위한 ‘머리 쓰는 법’ - 읽기 전략 독해 전략을 마스터하기 위한 길 - 세 가지 벽을 부수자 제6장 만화를 읽으면 안 될까? ‘만화 긍정론’ 대 ‘만화 부정론’ ‘이야기화’의 장점과 단점 시각화의 효과 배경지식 활용하기 제7장 도표와 일러스트가 많으면 좋을까? 그림이 있으면 쉽게 이해할까? 그림이 이해하기 쉬운 이유 그림의 효과와 부작용 멀티미디어도 마찬가지 제8장 독해력은 혼자서 익혀야 할까? 내가 모른다는 것을 아는가? - 메타 인지 친구와 함께 읽기의 장점 친구와 읽기 전략 연습하기 PART 3 · ‘읽는’ 것만이 독해가 아니다 제9장 글로 쓰인 건 모두 진실일까?진실인지 생각하며 읽는 ‘비판적 독해’ 비판적으로 읽기 위한 전략 제10장 선입관은 없애야 할까? 선입관이 이해를 방해한다 버릇처럼 하는 사고 제11장 주관은 반드시 배제하고 읽어야 할까? 무심코 감정이입 하게 된다 직감을 살려서 생각한다 제12장 결국 독해력이란 무엇일까? 다양한 독해력 독해력을 익히자 독해력을 높이자 마치면서 인용·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