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최우수 음악 강의’를 단 한 권의 책으로 만나다!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들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은 음악 강의 ‘음악을 통한 세상 보기’가 책이 되어 세상에 나왔다. 철학과 과학을 배경으로 한 음악 이론에서부터 유명 회화 작품들을 통해 살펴보는 시대별 음악의 특징, 음악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인 사건들 그리고 까다롭게 선별된 ‘50곡의 클래식 곡’까지 이 책에 빼곡히 담겨 있다. 나아가 본문에 수록된 QR코드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직접 들을 수 있어 보는 재미와 듣는 재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저자소개
선화예고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이탈리아 트렌토 국립음악원, 프랑스 파리음악원 최고 연주자과정을 졸업했다. 전국성악경연대회 대통령상, 이태리 부세토 베르디 국제콩쿠르 1위 등 국내외 다수의 콩쿠르에 입상했으며, 유럽극장에서 활동하다 귀국하여 국내에서 연주활동을 하며 서울시립대학교 음악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선화예술중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대한민국음악상 대상, 예총문화예술상 대상, 문화체육부장관 표창을 2회 수상했다. 평생을 노래에만 집중하며 살았지만 정작 본인의 딸이 늘 노래를 들으며 공부하는 습관을 고쳐주기 위해 찾아본 책을 통해 ‘음악이 인간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고 학생들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교양 강좌를 개설하여 강의하고 있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덕분에 이 강좌를 통해 서울시립대학교 최우수강의 교수상을 비롯하여 9차례 우수 교수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예술체육대학 학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음악의 구조와 영향01 음악의 신비로운 구조02 음악이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03 음악이 동식물과 미시 세계에 미치는 영향04 음악이 어린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2장 회화로 보는 문예 사조와 음악사01 서양 문화의 두 가지 정신02 회화로 보는 미술 사조03 서양 음악사# 3장 음악을 통해 세상 보기01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음악을 중세에 전한 보에티우스02 최초의 음악 학교, 스콜라 칸토룸03 악보와 계명창을 발명한 귀도 다레초04 오페라가 서양 음악에 준 영향05 메디치 가문과 메디치 효과06 음악의 아버지, 어머니?07 하나의 시신에 두 개의 두개골, 하이든08 영원한 천재, 모차르트09 인류의 평화를 염원한 베토벤10 영원한 맞수, 바그너와 베르디11 숨겨진 여성 작곡가들12 발레, 음악에 맞춰 춤으로 말하다13 음반, 소리를 기억하다14 노래의 도시 나폴리, 나폴리 노래15 미국의 음악, 재즈16 삶을 노래하다, 월드 뮤직# 4장 클래식 음악 정복하기01 클래식 음악, 왜 어려울까?02 클래식 음악과 대중(팝)음악03 클래식 음악, 어떻게 들어야 할까?04 클래식 음악 50곡으로 정복하기 01 프로코피예프 : 어린이를 위한 음악 「피터와 늑대」 Op.67 02 브리튼 : 관현악 변주곡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Op.68 03 그레고리오 성가 : 「주여, 불쌍히 여기소서」04 루터 : 코랄 「내 주는 강한 성이요」05 팔레스트리나 : 「아베 마리아」06 아당 드 라 알 : 음유시인의 노래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07 비발디 : 바이올린 협주곡 Op.8 「사계」 중 ‘겨울’ 1악장 RV29708 바흐 : 칸타타 147번 중 합창 「예수, 나의 기쁨」 BWV147 09 바흐 : 「무반주 첼로 모음곡」 1번 사장조 ‘프렐류드(전주곡)’ BWV100710 바흐 :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권」 1번 다장조 ‘프렐류드와 푸가’ BWV84611 헨델 : 모음곡 「수상 음악」 중 ‘알라 호른파이프’ HWV34912 헨델 : 오페라 「리날도」 중 알미레나 아리아 ‘나를 울게 내버려 두오’ 13 헨델 : 오라토리오 「메시아」 중 합창 ‘할렐루야’ HWV5614 페르골레지 : 「스타바트 마테르」 중 ‘내 육신이 쇠할지라도…아멘’ 15 하이든 : 교향곡 94번 「놀람」 사장조 2악장16 하이든 : 현악 4중주 77번 「황제」 다장조 2악장 Op.76-317 모차르트 : 교향곡 25번 사단조 1악장 K.18318 모차르트 : 오페라 「휘가로의 결혼」 중 이중창 ‘저녁 바람은 상쾌하고’ 19 모차르트 : 클라리넷 협주곡 가장조 2악장 K.622 20 모차르트 : 세레나데 13번 사장조 3악장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K.52521 모차르트 : 「레퀴엠」 중 ‘라크리모사(눈물과 한탄의 날)’22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 바단조 1악장 Op.5723 베토벤 :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봄」 바장조 1악장 Op.2424 베토벤 : 교향곡 9번 「합창」 라단조 4악장 Op.12525 베버 : 오페라 「마탄의 사수」 서곡26 슈베르트 : 예술가곡 「마왕」 D.32827 파가니니 : 「24개의 바이올린을 위한 카프리치오(광상곡)」 중 24번 Op.128 베를리오즈 : 「환상 교향곡」 다장조 1악장 ‘꿈과 열정’ Op.1429 리스트 : 교향시 3번 「전주곡」 S.9730 멘델스존 : 극음악 「한여름 밤의 꿈」 중 ‘결혼 행진곡’ Op.6131 바그너 : 오페라 「로엔그린」 중 3막 ‘전주곡과 혼례의 합창’32 베르디 : 오페라 「나부코」 중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33 브람스 : 연주회용 서곡 「대학축전 서곡」 Op.8034 비제 : 오페라 「카르멘」 중 카르멘 아리아 ‘아바네라’ 35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오페레타 「박쥐」 서곡36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교향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중 서주 Op.3037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6번 「비창」 나단조 4악장 Op.7438 차이코프스키 : 발레 모음곡 「호두까기 인형」 중 ‘꽃의 왈츠’ 39 글린카 : 오페라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40 무소르그스키 :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 중 6번 ‘사무엘 골덴베르크와 슈밀레’ 41 림스키코르사코프 : 교향 모음곡 「세헤라자데」 3악장 ‘젊은 왕자와 공주’ Op.3542 스메타나 : 교향시 「나의 조국」 중 2번 ‘몰다우’43 드보르작 :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마단조 2악장 라르고 Op.9544 시벨리우스 : 교향시 「핀란디아」 Op.2645 그리그 : 극음악 「페르귄트」 모음곡 2권 중 4번 ‘솔베이지의 노래’ Op.5546 사라사테 : 「치고이너바이젠」 Op.2047 드뷔시 :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48 스트라빈스키 : 발레 모음곡 「봄의 제전」49 쇤베르크 : 멜로드라마 「달에 홀린 피에로」 중 10번 ‘도둑질’ Op.2150 안익태 : 「한국 환상곡」맺음말참고문헌사진출처